반응형
하이패스 전용카드는 고속도로와 유료도로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든 통행료 결제 전용 카드입니다.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와 달리, 반드시 별도로 발급받아 차량 하이패스 단말기에 삽입해 사용해야 합니다. 종류는 후불(신용/체크카드)과 선불(충전식 카드)로 나뉘며, 카드사별로 포인트 적립이나 출퇴근 시간대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됩니다. 후불카드는 월 단위로 결제되고, 선불카드는 미리 충전한 금액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급은 카드사 또는 편의점, 온라인 등에서 가능하며, 사용 내역과 잔액 확인도 간편합니다. 하이패스 전용카드는 상점 결제는 불가하고, 오직 통행료 결제에만 사용됩니다. 본인의 이용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하이패스 전용카드란?
하이패스 전용카드는 고속도로, 유료도로 하이패스 차로를 무정차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든 카드입니다. 일반 신용카드, 체크카드는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하이패스 전용카드를 별도로 발급받아야 합니다.\
2. 종류
후불 하이패스카드
-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형태
- 통행료를 사용 후 월 단위로 결제
- 연회비(2,000~3,000원) 또는 발급 수수료(체크카드 5,000원 내외) 발생
- 카드사별로 포인트 적립, 출퇴근 시간대 할인 등 부가 혜택 제공
- 플라스틱 카드, SIM카드, 모바일카드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
선불 하이패스카드
- 미리 금액을 충전해두고 사용하는 방식
- 연회비 없음, 카드 구매 비용(5,000원 내외) 발생
- 충전한 금액 내에서만 사용 가능, 잔액이 부족하면 통행 불가
- 편의점, 고속도로 휴게소, 온라인 등에서 구매 및 충전 가능
3. 주요 카드사별 특징
- 신한카드: 신용/체크/모바일카드, 포인트 적립, 출퇴근 할인, 유효기간 10년
- 삼성카드: 신용카드, 출퇴근 할인, 플라스틱/SIM카드 선택 가능
- 현대카드: 신용카드, 출퇴근 할인, 플라스틱카드
- KB국민카드: 신용카드, 포인트 적립, 출퇴근 할인, 플라스틱/SIM카드
- NH농협카드: 신용카드, 출퇴근 할인, 플라스틱/SIM카드
- 하나카드: 신용카드, 출퇴근 할인, 플라스틱카드
※ 대부분 기존 신용/체크카드 소지자만 하이패스카드 추가 발급 가능
4. 발급 방법
- 후불 하이패스카드: 카드사 홈페이지, 앱, 고객센터에서 신청
- 선불 하이패스카드: 편의점, 고속도로 휴게소, 온라인에서 구매
- 발급 시 신분증, 기존 카드 정보 필요
5. 사용 방법
- 차량 하이패스 단말기에 카드를 삽입해 사용
- 모바일카드는 단말기 연동 후 실물카드 없이 사용 가능
- 일부 톨게이트에서는 하이패스카드를 단말기에 대고 결제하는 ‘터치패스’ 방식 지원
- 선불카드는 잔액이 부족하면 통행 불가, 후불카드는 미납 시 일정 기간 후 이용 정지
6. 할인 및 적립 혜택
- 출퇴근 시간대 할인: 평일 출근 5~7시, 퇴근 20~22시 50% 할인, 출근 7~9시, 퇴근 18~20시 20% 할인
- 포인트 적립: 하이패스 이용금액의 0.1% 등
- 일부 구간 자동 면제: 특정 연계구간은 자동 면제
7. 유의사항
- 하이패스 전용카드는 상점 결제 불가, 통행료 전용
- 분실 시 재발급 소요(5~7일), 미납 시 과태료 발생
- 선불카드는 등록 후 24시간 이후 사용 가능
- 이용내역, 미납요금, 환불 등은 카드사 또는 한국도로공사 고객센터에서 확인 가능
012345
반응형
'하이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충전 하이패스 카드 (2) | 2025.06.27 |
---|---|
하이패스 단말기 구입처 (지원금) (3) | 2025.06.23 |
후불 하이패스 카드 (1) | 2025.06.23 |
하이패스 충전 가능한 편의점 (0) | 2025.06.23 |
하이패스 미납 요금 납부 (스마트 폰 해결) (0) | 2025.06.23 |